레이블이 공부자성적도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공부자성적도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9년 11월 15일 일요일

[옮겨온 글]통문관에 다녀왔어요 (2/2)

<원문 작성일: 2009년 5월 11일 @ learningculture.wordpress.com >

 

1편에도 사용된 사진과 같이 보통 인사동의 고서점은 그림과 같이 사진을 쌓아 놓습니다. 원래 한적이란 것이 현대의 책처럼 세워 놓기보다는 눕혀 놓는 것이 맞는 것 같네요. 아래 사진을 자세히 보시면 책 사이에 라벨이 끼워져 있습니다. 책 제목인 것이죠. 제대로 책을 찾으려면 상당한 인내심이 필요하답니다.

 

사진의 백인 아가씨는 어떤 책을 찾고 있었을 까요? :)

   통문관한적

 

중간쯤 내려 가니 눈에 확 들어오는 제목이 있었습니다. “孔夫子聖蹟圖”였죠. 몇 달 전에 한글로 번역된 책을 구매하긴 했지만 내용이 많지 않아 한적이라도 그렇게 비싸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CIMG8915 CIMG8916

 

다시 들어가 책을 빼 보았습니다. (통문관 쇼윈도의 한적은 사장님의 도움이 있어야 꺼낼 수 있답니다) . 흥분된 마음으로 처음 몇 페이지를 보니 다음과 같이 되어 있더군요

 

CIMG9048
孔夫子聖蹟圖序文

 

짧은 한문 실력으로 읽어 보니 “萬曆二十年歲次壬辰十月朔 山東按察司副使奉” 으로 되어 있었습니다. 만력이면 明의 신종의 연호이고 임진이면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임진왜란이 일어난 1592년입니다. 산동의 어떤 안찰사부사가 아마 중앙정부의 누군가에게 봉(奉)하기 위해 만든 책이 아닌가 싶습니다.

명대에는 지방관리의 뇌물성 출판이 꽤 있다고 하네요. (자세한 내용은 너무나도 흥미진지한 책인 “명말 강남의 출판문화” 를 참고 하세요)

 

‘오 임진년 출판이라면 너무나도 비싸겠다..’라는 생각에 가격을 물어보니 “15만원”이라는 말을 듣고 완전 흥분된 목소리로 “계산해 주세요”라고 외쳤고 바로 날아 갈듯한 마음으로 통문관을 나왔습니다.

사무실로 돌아온 저는 흥분을 가라 앉히고 좀 차근차근 책장을 넘겨보았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삽화의 질이 좀 떨어지는 느낌이 들더군요.

 

CIMG8917
CIMG8918
CIMG8921

 

그래서 “공자성적도-김기주, 황지원, 이기훈 역주”를 다시 읽어보니 이런 내용이 나오더군요.

 

그런데 명대 ‘만력연간萬曆年間’ (1573~1619)에 이르면 “공자성적도”의 종류가 100여편으로 늘어난다. 이당시 간행된 판본에 그려진 그림의 내용들 역시 ‘정통본 공자성적도’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 대신에 그림이나 내용들이 많이 추가되었다. 이는 당시 화가들이나 판각을 하는 인쇄공들이 창작한 것들로서, 옛날 판본에서는 볼 수 없는 그림이었다.

 

이 글을 읽으면서 ‘그렇군..’이라며 별 생각을 하지 않고 책장을 계속 넘겨보았습니다. 하지만 오늘 최고의 충격은 마지막 장에서 발생합니다. (두 둥!)

 

image

이런 젠x!

이 책은 일정시대, 그러니까 대정(大正) 13년 즉 1924년에 인쇄 (흑흑..)된 책이었습니다. 출판소는 경성부 병목정 140번지, 지금의 중구 쌍림동이랍니다. 발행인은 차규범씨였습니다.

 

실제 인터넷에서 한적 공부자성적도를 찾아보니, 동일한 책이 몇 권 발견 되더군요. 다른 책들도 대부분 15만원 선이었습니다. 머 실제 책의 가격을 따지는 편이 아닌데다, 고서적을 재테크로 활용하고자 하는 생각이 아니었지만 잠시라도 흥분되었던 몇 시간 전의 스스로의 모습이 우습기만 합니다.

 

아무튼 혹시 공부자성적도에 관심있는 분을 위해 스캔 이미지를 몇 장 올려 놓겠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